
1. 세포벽 세포벽(細胞壁)은 식물 세포의 가장 바깥층을 에워싸고 있는 약간 두꺼운 막으로, 변형균을 제외한 모든 식물 세포에 존재한다. 동물 세포에는 원색 동물의 일부 가운데 가장 바깥 부분이 다당류 층으로 에워싸인 세포가 있는데, 식물 세포의 세포막과는 완전히 다르다. 다세포 식물에는 두 세포 사이에 중엽이라 불리는 세포간 층이 있어 이 양쪽에 각기 얇은 일차벽과 두꺼운 이차벽이 있다. 후자는 또한 외층(S1), 중층(S2), 내층(S3)의 셋으로 나눌 수 있는데, S1·S3는 얇고 S2는 두껍다. 그리고 거기다 3차벽을 가진 세포도 있다. 중엽은 펙틴이 주성분으로, 두 개의 세포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골지체에서 만들어진다고 한다. 다시 말해서 어떤 가득 찬 많은 골지 소포가 분열한 두 ..

1. 세포막 세포막(細胞膜, 영어: cell membrane)은 모든 세포가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이며, 세포 내부와 외부를 서로 구분해준다. 세포막은 인지질 및 단백질 분자로 구성된 얇고 구조적인 인지질 이중층으로 되어 있으며, 선택적인 투과성을 지닌다. 세포 표면막은 수용체 단백질과 세포부착 단백질(막단백질)을 지니고 있기도 한다. 이외에도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들도 존재하며, 이러한 단백질은 세포 기능 및 조직 구성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동물 세포에서, 세포막은 이러한 역할을 홀로 수행하는 반면, 효모, 세균, 식물에서는 세포벽이 최외곽 경계를 형성하며, 물리적인 방호력을 제공한다. 세포막은 대략 10 나노미터 두께이며,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희미하게 구분할..

https://bookdramang.com/228 족삼리, 널 가만두지 않겠어 장수의 비밀, 족삼리 류시성(감이당 연구원) 1844년 일본의 도쿄. 영대라는 다리의 개통식이 열렸다. 그러나 이날 최고의 화제를 모은 건 다리가 아니었다. 관심은 온통 한 가문의 세 커플에게로 � bookdramang.com 족삼리, 널 가만두지 않겠어 출발! 인문의역학! 장수의 비밀, 족삼리 류시성(감이당 연구원) 1844년 일본의 도쿄. 영대라는 다리의 개통식이 열렸다. 그러나 이날 최고의 화제를 모은 건 다리가 아니었다. 관심은 온통 한 가문의 세 커플에게로 쏠려 있었다. 이유인즉슨 이 커플들의 나이가 너무 많다는 것. 기록에 따르면 이들의 연세(!)는 자그마치 이러했다. “만평의 나이는 243세, 그의 처는 242세...

영국·독일 연구팀 "노화 속도와 관련된 철 대사 관여 유전자 확인" 영국과 독일 연구팀이 혈액 속에 철 성분이 얼마나 있느냐가 노화 속도를 늦추는 데 중요하다는 유전자 연구 결과를 내놨다. 영국 에든버러대학과 독일 막스플랑크 노화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1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서 100만명 이상의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 철 성분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노화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사람마다 노화 속도가 다른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노화 관련 유전자들을 확인했다며 이 연구 결과는 적절한 수준의 혈중 철분 농도 유지가 건강한 노화와 장수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생물학적 노화 속도는 사..

“왜 싱겁게 먹어도 우리의 잔병치레는 끝나지 않는 걸까?” 우리가 몰랐던 저염식의 치명적 함정과 소금의 진실! 내 몸에 맞는 ‘초간단 소금사용법’을 통해 체내의 독소를 짜내고 잃어버린 몸의 균형을 찾는다!짠맛, 나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불안을 파는 사회, 희생양이 된 소금 플라세보placebo 효과 못지않게 노세보nocebo 효과가 크다. 노세보는 위약 효과로 알려진 플라세보 효과와 반대되는 부정적 효과를 뜻한다. 단순한 물약이나 비타민제만으로도 증세가 호전되는 플라세보 효과와 달리 질병 진단만 받고도 급격히 체력이 떨어지면서 안 좋은 결과를 낳는 경우도 많다. 질병보다 무서운 것은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미리 걱정하는 ‘두려움’이다. 해로울 것이라고 믿으면 병에 걸릴 가능성이 그만큼 커진다. 마찬가지로..

일본인 오카다 모키치의 저서인 ⟪문명의 창조⟫의 한 챕터인 '질병이란 무엇인가' 발췌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바와 거의 일치하는 내용인지라 이곳에 남겨 봅니다. 질병이란 무엇인가 드디어 지금부터 질병에 대한 일체를 상세히 설명할 순서인데, 도 대체 질병이란 무엇인가 하면, 한마디로 몸속에 있어서는 안 될 오 물의 배제작용이다. 따라서 체내에 오물만 없다면 혈액순환은 좋으며, 병 없이 건강하고 항상 원기 왕성하게 활동을 할 수 있다. 그렇 다면 대체 오물이 무엇인가 하면, 바로 약제가 오래된 물질로 독혈 또는 농화한 불순물이다. 그러면 왜 그와 같은 병의 원인이 되는 약제를 사용하기 시작했는가 하면, 여기에도 커다란 이유가 있으므로 상세히 써보겠다. 최초의 인류는 원시시대에는 어쨌든 간에 점차 인구가 증가함..

https://news.nate.com/view/20111010n00083?mid=n0602 2011.10.10. 중앙일보 기사 토끼의 뇌에서 척수로 내려가는 부위에서 실처럼 가는 프리모관(바늘로 들어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 프리모관은 투명하고 가늘어 염색하기 전에는 보기 어렵다. 토끼의 뇌구조와 프리모 관찰 부위 프리모 관에 있는 초소형 세포 ‘산알(왼쪽)’. 두 개로 분열하는 과정(오른쪽). 일반 세포와는 전혀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40년 넘게 면역학을 연구해온 사람으로서 림프관에 또 다른 관(管)이 있다는 사실을 내 눈으로 확인한 뒤 너무나 놀랐어요.” 미국 인디애나 의대에서 세계적인 면역학 전문가로 이름을 떨치다 1999년 국내에 영입된 국립암센터 권병세(64) 박사의 말이다. 림프관은 그..

‘신동아’ 1997년 4월호 작가 공동철“봉한 학설은 노벨상 받을 만한 업적” 《1960년대 북한이 「세계과학사에 금자탑을 이룬 업적」이라고 대대적으로 선전했던 김봉한의 봉한학설. 한의학의 핵심개념인 경락과 경혈의 실체를 밝혔다고 알려진 봉한학설은 그러나 하루 아침에 폐기되고 김봉한은 숙청당한다. 「김봉한」 「소설 김봉한」등을 펴낸 공동철씨가 김봉한의 삶과 봉한학설을 재조명했다.》 매년 북한에서 발행하는 『조선중앙연감』 1962년도 판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실려 있다. 『과학연구사업에서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한 당 정책과 김일성 동지의 교시를 관철하기 위한 투쟁과정에서 특히 동의학의 우수한 점들을 계승 발전시키는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룩하였다. 독특한 실험연구방법을 창안하여 경락의 실태를 파악하였는..
- Total
- 380,542
- Today
- 10
- Yesterday
- 40